심장질병

개 폐성고혈압(PH)의 진단, 분류, 치료 및 관리에 대한 ACVIM 협의 가이드라인

imvetman 2025. 5. 9. 15:10

ACVIM consensus statement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classification, treatment, and monitoring of pulmonary hypertension in dogs

First published: 17 February 2020
 

ACVIM 개 폐고혈압에 대한 협의 내용 요약

1. 정의 및 분류

  • 폐고혈압(PH): 폐혈관 내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상태로, 다양한 심혈관, 호흡기 및 전신 질환과 관련이 있음.
  • 분류: 개의 폐고혈압은 다음과 같은 6개 그룹으로 분류:
    • 그룹 1: 폐동맥 고혈압(PAH)
    • 그룹 2: 좌심장 질환에 의한 폐고혈압
    • 그룹 3: 호흡기 질환/저산소증에 의한 폐고혈압
    • 그룹 4: 폐색전증/혈전증에 의한 폐고혈압
    • 그룹 5: 기생충 질환(Dirofilaria, Angiostrongylus)
    • 그룹 6: 다인자 또는 불명확한 기전의 질환
     

2. 진단 및 평가

  • 진단 방법: PH의 진단은 임상 증상, 심초음파 검사, 그리고 필요시 우심도관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 심초음파 검사: 폐고혈압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로, 삼첨판 역류 속도(TRV)를 측정하여 폐동맥 압력을 추정합니다.
  • 임상 증상: 운동 시 실신, 호흡 곤란, 운동 불내성 등이 PH의 강력한 지표로 작용합니다.

3. 치료 전략

  • 일반적인 치료 접근법:
    • PH의 진행 및 합병증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전략
    • PH의 원인 질환을 목표로 하는 치료
    • PH 특이적 치료
  • 그룹별 치료 권장 사항:
    • 그룹 1 (PAH): PDE5 억제제(예: 실데나필, 타다라필) 사용 권장.
    • 그룹 2 (좌심장 질환): 좌심장 질환의 원인을 치료하고, 필요시 PDE5 억제제를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 그룹 3 (호흡기 질환): 기저 호흡기 질환 치료와 함께 PH 특이적 치료를 고려.
    • 그룹 4 (폐색전증): 항응고제와 함께 PDE5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음.
    • 그룹 5 (기생충 질환): 기생충 감염 치료와 함께 PH 특이적 치료를 고려.
    • 그룹 6 (다인자 질환): 각 기저 질환에 대한 개별적인 치료 접근 필요.

 

4. 장기 모니터링

  • PH 환자는 치료 후 임상 증상, 심초음파, 혈액 가스 분석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치료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6분 걷기 테스트(6MWT)와 같은 기능적 평가도 유용합니다.

이 가이드라인은 개에서 폐고혈압의 진단, 치료 및 모니터링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을 제공합니다. 각 그룹의 특성과 치료 방법을 이해하고, 개별 환자의 상태에 맞춘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