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질병
고양이 신경학적 약화 감별진단 : LMN, UMN 마비 감별
imvetman
2025. 5. 10. 10:59
The Weak Cat
Practical Approach and Common Neurological Differentials
고양이의 신경학적 약화에 대해서 하위 운동 신경(Upper Motor Neuron, UMN)과 하위 운동 신경(Lower Motor Neuron, LMN) 마비의 차이를 구분
신경학적 검사 요소
- 멘테이션(Mentation): 고양이의 의식 상태와 행동 변화를 평가. 뇌간이나 대뇌의 병변이 의심될 경우, 보호자의의 관찰이 중요.
- 보행 및 자세(Gait & posture): 고양이의 보행은 미끄럽지않은 표면에서 평가, 힘과 협응력을 확인. 자세는 서 있을 때와 걸을 때 모두 평가해야함.
- 척수 신경 반사 및 근육 긴장도(Spinal nerve reflexes, muscle tone): 신뢰할 수 있는 반사는 팔과 다리의 굴곡 반사 및 무릎 반사. LMN 병변에서는 반사와 근육 긴장도가 감소하며, UMN 병변에서는 정상 또는 증가함.
- 자세 반응(Postural reactions): 고양이의 감각 및 LMN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전체 신경계의 무결성을 검사.
마비의 유형
- 하위운동신경(LMN) 마비:
- 하위 운동 신경 시스템의 병변으로 인해 발생, 짧고 쳐지는 보행, 감소된 근육 긴장도 및 반사가 특징.
- 고양이는 보행 시 짧고 쳐지는 자세를 보이며, 근육의 힘이 약해질 수 있음.
- 상위운동신경(UMN) 마비:
- 상위 운동 신경 시스템의 병변으로 인해 발생, 긴 보폭의 경련성 보행과 증가된 근육 긴장도가 특징.
-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보행 시 경련성으로 보이며, 일반적인 고유 수용성 실조가 동반될 수 있음.
신경학적 병변의 진단
- 정확한 신경 해부학적 진단: 병변의 위치에 따라 LMN 또는 UMN 마비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적절한 감별 진단을 수행할 수 있음.
- 진단 검사:
- 혈액 검사: 전해질, 크레아틴 키나제(CK),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T) 등을 포함.
- 영상 검사: 흉부 방사선 촬영 및 복부 초음파.
- 신경학적 검사: 전기 생리학적 검사, 뇌척수액 분석, 근육 및 신경 생검 등이 필요할 수 있음.
- 신경학적 약화는 LMN 또는 UMN 시스템의 병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은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에 중요.
-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이 LMN 또는 UMN 마비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들 질환의 진단을 위해서는 신경 해부학적 진단이 필요.
신경근육 질환
- 신경근육 질환은 고양이에서 비교적 드물지만, LMN 마비를 유발할 수 있는 여러 질환이 있음.
- 예를 들어, 다발성 신경병증, 외상성 신경병증, 그리고 특정 유전적 질환 등이 포함.
감별 진단 목록
- 신경근육 질환: LMN 마비를 유발하는 다양한 질환(예: 다발성 신경병증, 외상성 신경병증 등).
- 상위 운동 신경 질환: UMN 마비를 유발하는 질환(예: 뇌간 병변, 척수 병변 등).
- 혼합형 질환: UMN 및 LMN 증상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 질환(예: 림프종, 감염성 복막염 등).
결론
- 고양이의 신경학적 약화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LMN과 UMN 마비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의사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본 논문은 고양이의 신경학적 질환에 대해서 이해하고, 임상에서의 진단 및 치료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