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
면역 및 염증성 질병 치료를 위한 JAK 억제제
imvetman
2025. 5. 10. 12:31
Nat Rev Drug Discov. 2017 Dec 28;17(1):78. doi: 10.1038/nrd.2017.267
JAK inhibition as a therapeutic strategy for immune and inflammatory diseases
면역 및 염증 질환 치료를 위한 Janus kinase (JAK) 억제제의 생물학적 기초와 임상적 응용에 대한 것으로, JAK 억제제는 여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신호 전달 경로를 차단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염증성 장질환(IBD)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임.
JAK 억제제의 특징 및 사용
- JAK 억제제의 종류:
- 1세대 JAK 억제제: Tofacitinib, Baricitinib 등은 여러 JAK을 비선택적으로 억제하여 다양한 사이토카인의 작용을 차단.
- 2세대 JAK 억제제: Filgotinib, Upadacitinib 등은 특정 JAK에 대한 선택성을 높여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음.
- 주요 약물의 특징:
- Tofacitinib: JAK3와 JAK1을 억제하며, 류마티스 관절염 및 건선 치료에 사용. 여러 임상 시험에서 효과가 입증.
- Baricitinib: JAK1과 JAK2를 억제하며,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효과적. 특히 TNF 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서도 효과를 보임.
- Filgotinib: JAK1 선택적 억제제로, 염증성 장질환 및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효과적.
- Upadacitinib: JAK1 선택적 억제제로,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사용.
- 부작용:
- JAK 억제제는 감염 위험 증가, 빈혈, 백혈구 감소증, 심혈관계 이상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Tofacitinib은 감염 위험이 높아 예방적 백신 접종이 권장됨.
결론
JAK 억제제는 면역 매개 질환의 치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각 약물의 선택성과 부작용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 향후 연구는 JAK 억제제의 장기적인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하고, 특정 환자군에 대한 최적의 치료법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