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vetman 님의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imvetman 님의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0)
    • 신장질병 (2)
    • 소화기질병 (5)
    • 심장질병 (3)
    • 면역질병 (0)
    • 내분비질병 (1)
    • 종양 (4)
    • 신경질병 (1)
    • 고양이질병 (1)
    • 호흡기질병 (0)
    • 감염성질병 (1)
    • 혈액질병 (1)
    • 체액 (0)
    • 피부질병 (0)
    • 생식기계 질병 (0)
    • 의료기기 (0)
    • 제주맛집 (0)
    • 제주여행 (0)
    • 제주자연 (0)

검색 레이어

imvetman 님의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개와 고양이에서 반코마이신 사용

    2025.06.01 by imvetman

  •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윤영민

    2025.05.19 by imvetman

  • 개와 고양이 위장관 질환의 영양관리

    2025.05.11 by imvetman

  • 개 심장질병에서 줄기세포 치료

    2025.05.10 by imvetman

  • 면역 및 염증성 질병 치료를 위한 JAK 억제제

    2025.05.10 by imvetman

  • 개에서 피부 T세포 표피성 림프종 증(CTCL)

    2025.05.10 by imvetman

  • 만성장병증(CE) 개에서 가수분해사료 급여가 증상개선에 미치는 영향

    2025.05.10 by imvetman

  • 고양이 신경학적 약화 감별진단 : LMN, UMN 마비 감별

    2025.05.10 by imvetman

개와 고양이에서 반코마이신 사용

Parenterally administered vancomycin in 29 dogs and 7 cats (2003-2017)Ian M DeStefano 1, Annie S Wayne 1, Elizabeth A Rozanski 1, Jonathan M Babyak J Vet Intern Med. 2019 Jan;33(1):200-207. doi: 10.1111/jvim.15357. Epub 2018 Nov 30.사람에게서 반코마이신의 보고된 부작용으로는 급성 신장 손상(AKI), 호중구 감소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이 포함됩니다. 또한 사람에게서는 신독성, 이독성, 호중구 감소증, 그리고 빠른 투여 시 히스타민 방출로 인한 혈관 확장, 홍조, 저혈압을 특징으로 하는 "붉은 사람 증후군(red man sy..

감염성질병 2025. 6. 1. 15:01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윤영민

학력기 간학 교전 공학 위비 고1986.03. ~ 1990.02.서울대학교수의학학사1990.03. ~ 1992.02.서울대학교임상수의학(내과)석사1992.03. ~ 1997.02.서울대학교임상수의학(내과)박사경력기 간근무 기관직위 및 직책1994.09. ~ 1996.08.서울대학교 부속동물병원조교1997.04. ~ 1998.03.서울대학교 수의과학연구소박사후 연구원1997.07. ~ 2001.05.연세대학교 임상의학연구센터연구원2001.06. ~ 2002.02.동물병원(서울소재 동물병원) 원장2002.03. ~ 현 재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교수(수의내과학)2016.09. ~ 2017.08.미국 노스케롤라이나주립대(NCSU)방문교수2020.03.~2024.02.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설동물병원병원장..

카테고리 없음 2025. 5. 19. 21:34

개와 고양이 위장관 질환의 영양관리

Advances in Small Animal Care 3 (2022) 109–119, "Nutrition in Canine and Feline Gastrointestinal Disease" Nutrition in Canine and Feline Gastrointestinal DiseaseAarti Kathrani, akathrani@rvc.ac.uk DOI: 10.1016/j.yasa.2022.05.004 개와 고양이의 다양한 위장관(GI) 질환 관리에 있어 영양의 중요성고, 각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영양 관리 전략을 제시. 영양 평가의 중요성부터 급성 위장염, 사료 이상 반응, 만성 염증성 장질병, 장 림프관확장증, 고양이 변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GI 질환에 대한 최신 지견과 권장 사항을 포함...

소화기질병 2025. 5. 11. 23:10

개 심장질병에서 줄기세포 치료

Biomolecules 2025 Mar 4;15(3):371. doi: 10.3390/biom15030371.Stem Cell Therapies in Canine Cardiology: Comparative Efficacy, Emerging Trends, and Clinical IntegrationAhmed Farag, Hanan Hendawy, Mahmoud H Emam, Mizuki Hasegawa, Ahmed S Mandour, Ryou Tanaka 서론심혈관 질환 개요: 개에서 심혈관 질환은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약 8%의 사망률을 차지하며, 10-15%의 진료를 받는 개들이 심장 질환으로 진단받고 있다. 가장 흔한 질환은 승모판 질환과 확장성 심근병증이다.줄기세포 치료의 가능성: 중..

심장질병 2025. 5. 10. 16:37

면역 및 염증성 질병 치료를 위한 JAK 억제제

Nat Rev Drug Discov. 2017 Dec 28;17(1):78. doi: 10.1038/nrd.2017.267JAK inhibition as a therapeutic strategy for immune and inflammatory diseasesDaniella M Schwartz, Yuka Kanno, Alejandro Villarino, Michael Ward, Massimo Gadina, John J O’Shea 면역 및 염증 질환 치료를 위한 Janus kinase (JAK) 억제제의 생물학적 기초와 임상적 응용에 대한 것으로, JAK 억제제는 여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신호 전달 경로를 차단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염증성 장질환(IBD)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임.JAK ..

종양 2025. 5. 10. 12:31

개에서 피부 T세포 표피성 림프종 증(CTCL)

Can Vet J2023 Mar;64(3):281–284.Cutaneous T-cell epitheliotropic lymphoma(CTCL)Charlie Pye 1. 개요피부 T세포 표피성 림프종(Cutaneous T-cell Epitheliotropic Lymphoma, CTCL)은 개와 고양이에서 드문 신생물로, 피부 종양의 1%를 차지. T-림프구가 피부 및 부속 구조물에 침투하는 것이 특징. CTCL은 Mycosis fungoides, Sezary syndrome, Pagetoid reticulosis로 세분화 2. 병인CTCL은 일반적으로 T-림프구 유래 림프종이며, 정확한 원인은 불명확. 개의 경우, 인간의 질병과 유사하며, Mycosis fungoides(MF), Pagetoid retic..

종양 2025. 5. 10. 12:11

만성장병증(CE) 개에서 가수분해사료 급여가 증상개선에 미치는 영향

J Vet Intern Med2025 May 6;39(3):e70071. doi: 10.1111/jvim.70071Association of Diet With Treatment Response in Dogs With Chronic Enteropathy: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Sofia D Rodrigues, Beatriz Mendoza, Maria J Dias, Nuno S Santos, Marine Hebert, Elisa Bettin, Francesco Signorelli, Fabio Procoli, Juan Hernandez, Rodolfo O Leal 만성 장염(Chronic Enteropathy, CE) 진단 개에서 식이요법이 치료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소화기질병 2025. 5. 10. 11:32

고양이 신경학적 약화 감별진단 : LMN, UMN 마비 감별

J Feline Med Surg 2017 Feb 3;11(5):373–383. doi: 10.1016/j.jfms.2009.03.005The Weak CatPractical Approach and Common Neurological DifferentialsPeter P Nghiem, Simon R Platt, Scott Schatzberg 고양이의 신경학적 약화에 대해서 하위 운동 신경(Upper Motor Neuron, UMN)과 하위 운동 신경(Lower Motor Neuron, LMN) 마비의 차이를 구분 신경학적 검사 요소멘테이션(Mentation): 고양이의 의식 상태와 행동 변화를 평가. 뇌간이나 대뇌의 병변이 의심될 경우, 보호자의의 관찰이 중요.보행 및 자세(Gait & posture): ..

고양이질병 2025. 5. 10. 10:5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imvetman 님의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